최근 한 북미인이 영어학원 광고에 나와 "'Hello, how are you today?'""'I'm fine, thank you, and you?' No, no, no, no. Come on, guys. Let's get serious."자막: I'm fine, thank you, and you, 라구요? 그런거 말구요... 우리 진짜 이야기를 해보자구요. 로 시작하는 1분짜리 연설을 하는 유튜브 비디오가 화제가 되었다. 몇 번이고 돌려보았는데, 1. 전달하는 방식에 있어서2. 한국어와 영어(특히 북미식)의 담화 스타일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았다는 점에 있어서"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언어를 구사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메시지가 되기에는 무리가 있어 보였다. 1. 우선 화자가 제안하는 "진짜 영어" 혹..
대부분의 한국인들에게 영어는 증명해 보여야 할 무엇인가이다. 자격증이고, 기술이며, 아는 사람들 앞에서는 단 한 마디도 꺼내기가 힘든데 갑자기 아주 쉬운 단어조차 내가 맞게 사용하고 있는지 확신이 서지 않아서이다. 내 발음이 지나치게 노력하는 것처럼 들리는지, 평소 내 인상에 비해 너무 콩글리쉬인지 알 수가 없다. 전혀 하지 않는 쪽을 택한다. 하나의 언어가 집단적 트라우마이자 동시에 지배적 문화를 받아들이는 채널로 기능하는 애증의 대상인 것, "잘하는" 사람은 부러움의 대상인가 싶지만 또 "그래서 얼마나 잘하는데"로 저울질 당하는, 대단히 동아시아적인 현상. 한국에서 영어의 존재와 함께 산다는 것. 여기에 대해 말해보고 싶었다. 앞선 글에서 묘사된 미국의 스몰톡이 세계의 다른 문화에서의 "스몰톡 없음"..
"치유하는 영어"라는 제목을 선택하면서 가장 걱정스러웠던 것은 "치유"라는 단어가 어떻게 해석될까 하는 것이었다. 그래서 많은 설명을 한번에 하기보다, 뉴요커 지(The New Yorker)에 소개되었던 에세이를 번역함으로써 내가 이제부터 소개하려는 영어 배우기의 운을 띄워볼까 한다. My Struggle with American Small talk- Karan Mahajanhttp://www.newyorker.com/culture/culture-desk/my-struggle-with-american-small-talk 독립기념일을 맞아 우리는 작가들에게 미국만이 가진 무언가를 포착할 수 있게 도와주는 인믈, 사물, 혹은 경험에 대해 묘사해 달라고 부탁했다. -------------------------..